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총체적음악교육2

교사와 함께하는 총체적 음악교육 활동의 아이디어 음악 활동을 단순히 음악 내적 활동에만 국한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음악교육의 본질은 소리의 지각과 반응을 통한 다양한 표현에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표현은 여러 교과와의 총체적 결합 상태일 때 더욱 구체화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소리의 형식적 구조와 조직적 활동 뿐만 아니라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적 요소를 도입하여 통합된 총체적 음악 활동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음악극◈ 음악극 창작 수업 모형은 외국의 경우 1990년대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0년대 후반 음악극 창작을 시작으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존의 창작 수업 모형을 분석함으로써 장애 학생을 위한 음악극과 프로그램을 구안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1. Cret.. 2022. 10. 3.
총체적 음악교육방법을 위한 고려사항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려면 음악과 내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활동 영역과 이해 영역의 효과적인 학습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때 활동 영역은 경험적 접근 방법, 이해 영역은 개념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수업 현장에서 음악 수업을 전개할 때는 특정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 학습목표를 이루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활동과 이해가 적절하게 배합되어 그 음악적 의미가 생활로 구현되거나 생활 속에 적용될 때 좋은 수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음악의 목표를 달성하고 좋은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접근 방법과 개념적 접근 방법이 조화롭게 구성되는 '총체적 접근 방법'으로 수렴되어야 할 것입니다. 총체적 접근 방법의 필요성은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2022. 10. 2.
반응형